피에르-로랑 에마르 피아노 리사이틀 (2024.10.1)
베토벤/쇼팽/드뷔시/리게티
내가 영접하는 에마르의 연주는 이 번이 세 번째다(순수 리사이틀은 2번째 리사이틀).
최고의 피아니스트이며, 대안조차 없는 연주가의 리사이틀을 보러 가는 것은 의무인 동시에 즐거움이다.
이제 이런 연주를 더는 들을 수 없다는 절박감보다는, 한층 더 노숙해진 거장의 연주를 들을 수 있다는 기쁨이 앞서……는 것보다는 그냥 더 늙으시면 이제 리게티 에튀드 못 치실 것 같아서 갔다(진짜다. 에마르옹 벌써 67세시다. 다들 더 늦기 전에 보러 가라).
레퍼토리는 전에도 그랬듯 고전 레퍼토리와 현대 레퍼토리를 절묘하게 섞어놓았다.
1부에는 베토벤의 바가텔과 리게티의 <무지카 리체르카타>를 섞어놓았는데, 차례대로 등장하는 리게티의 곡과는 달리 베토벤의 곡은 연주자의 의도에 따라 재배치되었다.
노쇠에 대한 걱정은 기우였다.
에마르의 피아노 연주는 완벽한 균형미와 우아한 철골을 연상시키는 음색, 그리고 경이롭다 못해 공포스러운 기교의 삼위일체가 여전했다.
그리고 그보다 놀라운 것은, 듣는 관객이 피아니스트의 의도에 따라가고 설복할 수밖에 없는 레퍼토리 배치와 해석이었다.
에마르는 베토벤에서는 베토벤이 얼마나 불협화적이고 현대적인 작곡가인지, 그가 바가텔에 배치해 놓은 불협화적 긴장이 얼마나 현대적인지를 보여주었으며, 반대로 리게티의 <무지카 리체르카타>에서는 (아직 헝가리 시절이지만) 리게티가 얼마나 고전에 경도되어 있는지, 그게 얼마나 많은 고전에 경의를 바치고 있는지를 보여주었다.
어떤 순간에는 잘 빠진 철골, 어떤 순간에는 투명한 유리를 연상시키는 그의 음색을 들으면서 떠오른 것은 (우스운 비유지만) 20세기 후반부 건축의 결정체라고 불리는 퐁피두 센터였다.
음향에 대해 얘기를 해보면, 에마르의 음향은 어떤 상황에서도 고르게 원을 그리면서 퍼져나가는 고유의 음향을 고수한다. 이 음향은 아무리 작아져도, 심지어 피아니시모나 피아니시시모, 그 이하의 음량이어도 연주회장 끝까지 고르게 퍼져나가 관객에게 구조를 입력한다.
(이 컨트롤을 제대로 못 하는 피아니스트는 의외로 적지 않다.)
1부에서 소품의 세계를 펼쳤던 에마르는, 2부에서는 피아노의 극한의 기교로 뛰어든다.
이렇게 ‘현대음악’처럼 연주하는 쇼팽이 또 있을까. 이렇게 깨끗하게 들리는 (폴리니 식의 표백제 뿌린 듯한 음향에 과포화된 페달링만 들리는 연주가 아니라) 드뷔시가 또 있을까.
물론 에마르의 핵심은 1부에서도 그랬듯 2부에서도 리게티였다. 첫 곡 <갈람 보롱>부터 마지막 곡 <악마의 계단>까지, 에마르는 ‘연주 불가능’ 소리까지 듣는 리게티의 에튀드를 씹어먹다 못해 가지고 놀았다. 역시 가장 큰 임팩트를 준 두 곡은, 스산하고 비통한 음악으로 시작해서 복잡한 구조가 얽히다가 거대한 몰아침으로 끝나는 <바르샤바의 가을>과, 리게티의 피아노 에튀드를 통틀어 가장 어려운 곡으로 꼽히는 <악마의 계단>.
<악마의 계단>은 극악의 연주 못지않게 연주회장을 폭력적으로 채우는 마지막 음향의 음압이 중요한데, 에마르는 우리가 기대했던 대로 다른 피아니스트는 못 일으킬 핵폭풍으로 우리를 경이롭게 해주었다. 음의 연주가 끝나고, 핵폭풍이 서서히 가라앉는 마지막 10초 동안은 아무도 박수를 치지 않을 정도였다.
1부에서도 그랬듯 2부의 배치도 절묘했다. 특히 마지막 두 곡, 드뷔시의 <반음계를 위하여>와 리게티의 <악마의 계단>은 드뷔시와 리게티의 피아노곡을 통틀어 가장 어려운 곡을 배치해서, 이 프로그램에 어울리는 대단원이 무엇인지를 알려주었다.
한 가지 흠이 있다면, 드뷔시의 <반음계를 위하여>를 칠 때 꽤 오래 꺼지지 않았던 핸드폰 벨소리. ‘관객 수준’ 운운하고 싶지는 않지만, 이것만큼은 몰입을 깰 만큼 길어서 언급을 하지 않을 수가 없었다.
참고로 앵콜로는 리게티의 <3개의 바가텔>을 쳤는데, 이 소품은 리게티가 ‘플럭서스 그룹’에서 활동하던 1961년에 작곡한 작품으로서, 첫 곡에서는 음을 하나만 치고, 나머지 두 곡은 텅 비어 있다.
그러니까, 첫 곡에서 음을 딱 하나만 치고, 나머지 두 곡은 치려는 척 아무것도 안 한다고.
그 의도를 이해하는 순간, 웃을 수밖에 없었다.
리사이틀을 완성하는 순간이었으니까.
이렇게 연주자의 의도대로, 완벽하게 진행되고 완성된 리사이틀이 또 있었을까?
요약 : 감동보다는 경이로움. 그러나 경이로움만으로도 충분히 감동적일 수 있음을 증명한 리사이틀.
'연주'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바그너 갈라 콘서트 / 벤트리스, 매기, 연광철, 차그로섹 (19.6.9) (0) | 2019.06.09 |
---|---|
루비모프 연주회 (2) (2018.5.12/통영국제음악홀) (0) | 2018.05.13 |
루비모프 연주회 (1) (2018.5.12/통영국제음악홀) (2) | 2018.05.13 |
래빗/페트렌코 연주회 (2017.9.13/예술의 전당) (0) | 2017.09.14 |
얀손스 연주회 (2016.12.4/예술의 전당) (0) | 2016.12.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