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9.3.1 (금)


 프레빈/LSO 쇼스타코비치 교향곡 8번 (EMI)


 쇼스타코비치의 교향곡 8번은 승리의 개가인 7번과 쇼스타코비치식 풍자의 걸작인 9번 사이에서 불안한 입지를 가진 작품이다. 곡은 처음부터 끝까지 염세와 불길함의 냄새를 풍긴다. 금관의 폭격은 희망을 잿더미로 만들어버리며, 현악기는 60분 내내 비명을 지르거나 침묵해버린다. 5악장 마지막에 목관이 가녀린 희망을 이어나가려 하지만, 그 최후의 노력은 아무 의미없는 죽음이 되어, 아무도 모르게 잊힌다.

 학살 장면이나 전장의 참상을 스냅샷(공교롭게도 이 단어에는 '총을 난사하는 행위'라는 뜻이 담겨 있다)으로 찍어 고발하는 듯한 무궁동의 3악장을 제외하면, 나는 이 교향곡을 언급하는 것을 거의 본 일이 없다. 적어도 형식상으로는 엉성한 7번보다 더 잘 만들어졌음에도 말이다.

 프레빈의 8번은 내가 므라빈스키 다음으로 좋아하는 연주다. 그는 쇼스타코비치의 부인할 수 없는 권위자가 된 므라빈스키와는 다르게, 이 우울하고 염세적인 작품을 '듣기 쉽게' 만드는 것으로 성공을 거두었다. '듣게 쉽게' 만들었다고 해서 프레빈이 이 곡을 아무 의미 없는, 아무 생각 없는 키치로 타락시켰다는 얘기가 아니다. 그는 포인트를 정확하게 잡아 쇼스타코비치를 공략해나간다. 다이내믹의 극한을 자랑하는 1악장 중반부에서는 그야말로 폭탄을 터뜨린다. 3악장의 리듬감은 므라빈스키와는 다른 의미로 훌륭하다. 무엇보다, 그의 손에서 잡힌 런던 심포니의 음향은 같은 오케스트라의 연주들 중 최상급이다.

 프레빈의 쇼스타코비치는 시카고 심포니와 함께 한 4번(EMI)도 훌륭한데, 다른 박스에 묶여 나온 8번과는 달리 이놈은 구하기 쉽지 않다는 단점이 있다. 워너에서 프레빈의 쇼스타코비치를 전부 묶어 박스로 냈으면 한다. 뭐, 지금 세태를 봤을 때 언젠가는 전집에 전부 들어가겠지만.

'음반' 카테고리의 다른 글

데무스 추모 특집 / 그의 드뷔시를 들으며  (0) 2019.05.03
음반일기 / 2019년 2월  (0) 2019.02.03
음반일기 / 2019년 1월  (0) 2019.01.01
음반일기 / 2018년 12월  (0) 2018.12.30
음반일기 / 2018년 11월  (0) 2018.12.30
Posted by 여엉감
,


 2019.2.3 (일)



 체자레 시에피 / 56년 잘츠부르크 가곡 리사이틀 (56.7.27) (Orfeo)


 시에피라는 위대한 가수의 위대한 역량을 아낌없이 체감 가능한 명연. 프랑스어/독일어/이태리어라는 3개 국어 프로그램을, 그것도 륄리에서 라벨까지 300년에 걸친 방대한 레퍼토리로 짜면서도 완벽한 리사이틀이 가능한 존재를 도대체 뭐라고 불러야 할까. 선악이 깃든 기품있는 목소리에 매끄러움에서 박력 사이를 마음대로 오고가는 호흡조절과 가창, 감정표현, 거기다 레퍼토리에 걸맞게 콘서트홀을 끓어오르게 만드는 완급조절까지 완벽하다.

 스타트를 끊는 륄리의 <아마디스>와 <알세스트>의 아리아부터 시작해 슈만과 브람스의 가곡, 모차르트의 콘서트 아리아, 보이토(<메피스토펠레>), 베르디(<시칠리아 섬의 저녁기도>와 <시몬 보카네그라>), 로시니(<세빌리아의 이발사>와 <알제리의 이탈리아 여인>)의 아리아를 거쳐 마지막 안토니오 카를로스 고메스의 곡까지 방대한 곡들을 떡 주무르듯 주무르지만, 이 리사이틀의 압권은 단연 라벨의 <둘시네의 돈키호테>. 이태리 사람이라는 게 믿겨지지 않는 완벽한 프랑스어 발음을 자랑하며 혀가 꼬일 것 같은 이 난곡을 너무 쉽게 풀어낸다. 시에피의 프랑스어 발음은 특히 r와 un에서 초강세를 보이는데, 특히 두 발음을 동시에 들을 수 있는 2곡 <회고적인 노래> 중 'D’un rayon du ciel bénissez ma lame' 단락은 그야말로 절창. 3곡 <권주가>의 알딸딸한 사이키델릭 분위기도 완벽하게 소화해낸다. 왜 시에피가 위대한 가수인지, 그리고 위대한 가수가 어떻게 무대를 가리지 않고 빛을 발하는지를 잘 알고 싶다면 반드시 들어야 할 음반.



 2019.2.14 (목)


 미트로풀로스 슈만 2번/프로코피예프 5번 (54.8.21) (Orfeo)


 혼란한 합주력, 삐긋삐긋하는 음정, 가끔 이상해지는 다이내믹. 이 모든 단점에도 불구하고 이 연주가 프로코피예프 5번 역사상 가장 무서운 연주인 이유는 단 하나, 지휘자의 존재감 때문일 것이다. 프로코피예프의 곡은 곡에 내재한 '신랄함'을 얼마나 잘 살리느냐에 생명이 달렸는데, 이 연주는 그 측면에서 완벽하다. 실내악 규모로 줄어들었다가 갑자기 사정없이 폭발하는 다이내믹 또한 이 연주를 더 예측불허로 만들어준다. 그 모든 것은 불세출의 지휘자 미트로풀로스의 공이다.

 커플링된 슈만 2번은 프로코피예프의 곡과 닮은 점이 많은데, 피아노의 어법으로 관현악 작곡을 생각한 탓에 '매끄럽지 못한' 부분이 많다는 점, 그리고 관현악 특유의 다이내믹을 잘 살리는 대신 그냥 쿵쾅거리는 것으로 때우려는 부분이 많다는 점이다. 하지만 그 때문에 사람들이 슈만과 프로코피예프의 보석같은 아이디어를 거들떠보지 않는 것은 아쉽다. 후대 작곡가들에게 전범이 될 정도로 기묘한 슈만의 싱커페이션과 화성진행, 그리고 프로코피예프의 간결한 그로테스크함은 이 교향곡들에서도 잘 살아 있다.



 2019.2.16 (토)


 박하우스/뵘 브람스 2번/모차르트 27번 피아노 협주곡 (Decca)


 피아노와 반주 둘 다 하품 나오는 할아버지의 연주. 박하우스가 '건반의 사자왕'이었던 시절은 모노 시절이지, 다 죽어가는 7~80대가 아니다. 나는 모노 시대 박하우스의 기개를 엿볼 수 있는 연주로 37년 슈만의 환상곡(EMI)을 추천하겠다. 뵘의 반주도 같이 하품 나오기는 마찬가지. 비슷한 시기 바그너와 슈트라우스 반주를 생각하면 힘을 숨겨도 너무 많이 숨긴다(65년 로엔그린(Orfeo)과 엘렉트라(Orfeo) 실황을 비교해 볼 것). 브피협 2번의 내 선택은 어쩔 수 없이 길렐스/라이너/CSO(RCA) 쪽으로 기운다. 스튜디오 레코딩 중에서 고를 수 있는 최선의 선택이니까.


 텔덱 리게티 프로젝트 CD 3 (Teldec)


 텔덱에서 내놓은 다섯 장의 리게티 프로젝트 중, 내가 가장 좋아하는 것은 3번 CD다. 3번의 수록곡은 첼로 협주곡-<시계와 구름>-바이올린 협주곡-<피리, 북, 깽깽이Síppal, dobbal, nádihegedűvel>로 되어 있는데, 이 배치는 리게티의 음악 노정인 아방가르드 시기(첼로 협주곡)-모색기(<시계와 구름>)-아방가르드 탈피(신조성 음악?)기(바이올린 협주곡과 <피리, 북, 깽깽이>)를 압축해서 보여줄 뿐만 아니라, 기악(현악 협주곡)-성악(아카펠라 합창곡)-기악(현악 협주곡)-성악(독창+앙상블)곡의 배치로 묘한 균형감까지 준다. 난 이렇게 음악의 발전과정을 논리적으로 보여주는 배치를 좋아한다. 순수하게 기량만을 평가하자면, <시계와 구름>을 노래한 카펠라 암스테르담의 솜씨가 가장 좋았다고 평하겠다. 코러스 마스터인 Daniel Reuss에게도 감사를 표한다.


 마커스 클린코 프랑스 하프 음악집 (EMI)


 사람이 너무 오래 긴장하면 고장이 난다. 바깥을 오래 돌아다니면, 그것만으로도 긴장하고 피곤하게 된다. 여기저기 돌아다녀서 피곤한 김에 긴장도 풀 겸 별 생각없이 틀었다. 긴장을 풀기에는 하프 독주가 딱이니까. 마커스 클린코는 릴리 라스킨에게 수학했다는 이력이 돋보이지만, '그 이상'이 없는 '재능만 있는 일개 한량'이다. 그리고 이런 한량의 연주가 그렇듯, 전혀 대단한 구석이 없다. 자신이 음악에 미치지 않으면 절대 남을 미치게 만들 수 없다.



 2019.2.17 (일)


 뮌쉬/BSO 생상스 교향곡 3번 <오르간>, 드뷔시 <바다>, 이베르 <기항지> (RCA)


 십수 번을 들었던 음반인데 글을 쓰는 것은 처음이다. 생상스는 오르간과 오케스트라 황금비율을 맞추기 위해 관객석 1/3을 들어내고 거기에 오케스트라를 앉혀 녹음했다는 전설적인 일화가 남은 연주다. 이런 노력이 이후의 레퍼런스인 바렌보임(DG), 카라얀(DG) 음향 실험의 선구가 되었음은 물론이다. 연주는 듣기 괜찮은데 소리가 약간 거칠고, 동시기 스테레오 레코딩이 그렇듯 최강주에서 음향이 과포화된다. <바다>는 경이로운 뮌쉬 본인의 67년 실황(Altus)에 비하면 많이 모자라다. 안정되지 못한 금관 테크닉도 그렇고, 3악장 막판의 트럼펫 패시지(초판 이후 일관되게 삭제되었지만 연주가들이 기어이 복구시킨 부분)는 매가리가 없다. 가장 뛰어난 연주는 역시 이베르의 <기항지>. 부점 리듬이 난무하는 이 곡을 뮌쉬는 능수능란하게 연주한다. 플루트 연주자가 죽어나는 소리가 들릴 정도.


 폴리니 베토벤 피아노 소나타 11, 12, 21번 (DG)


 97년 빈 무지크페라인 홀 실황연주. 클래식 음악 처음 팔 때는 참 좋은 연주라고 생각했는데 지금 들으면 당최 뭐가 좋았는지 이해를 할 수 없는 연주. 폴리니는 페달링 테크닉의 절반이라도 음향 계발에 힘을 썼으면 더 평가가 높아지지 않았을까 싶다.


 길렐스/아마데우스 sq. 브람스 피아노 4중주 1번 外 (DG)


 제대로 된 피아노의 음색을 듣기 위해 길렐스를 틀었다. 브람스 피아노 4중주 1번의 레퍼런스. 피아노와 현악기 모두 선 굵은 연주로 일관한다. 커플링된 4곡의 발라드 Op.10도 훌륭한 연주. 살인(그것도 존속살인)한 사람의 심리 상태를 적나라하게 드러내는 1번과, 침잠한 감정들이 어물거리면서 아련함과 불길한 색채를 번갈아 암시하는 4번이 인상적이다.



 2019.2.18 (월)


 훔부르크 로시니 <이발사> CD 2 (Naxos)


 연주의 내용보다 낙소스가 내지에 저지른 만행을 좀 쓰고 넘어가야겠다. 리브레토가 CD 2 10번 트랙까지밖에 인쇄가 되어 있지 않아서(1막 로지나/피가로 듀엣 "Dunque io son"과 바르톨로 아리아 "A un dottor della mia sorte" 사이 레치타티보) 그 후의 내용이 없다. 이러면 호평을 하고 싶어도 못한다. <이발사>는 음반마다 빠지거나 들어간 내용도 많고 애드립도 많은 오페라라서 리브레토가 필수인데 이딴 짓을 해놓았으니 이 따위로 음반을 만드는 낙소스는 욕을 먹어도 싸다.


 스턴/로즈 오먼디/필리 브바협/이중협 (Sony)


 난 스턴을 좋아하지 않는다. 특유의 톤은 존중해야 한다는 의견에는 동의하지만, 40도 되기 전에 테크닉 측면에서 맛이 가 버린 사람을 고평가하기는 힘들다. 오먼디/필라델피아와 녹음한 브람스 바이올린 협주곡은 39세 때인 1959년에 녹음했는데, 테크닉은 맛이 갔는데 특유의 톤만 악착같이 살리려고 하다 보니 김 빠진 콜라를 졸여서 콜라청을 만든 다음에 억지로 멕이는 느낌이다. 1악장 22분이 66분같다. 이중 협주곡은 첼로를 켜는 레너드 로즈 때문에 참고 들었다. 로즈는 훌륭하지만 스턴은 그저 그랬다. 그래도 바이올린 협주곡만큼은 아니어서 다행인가?

'음반' 카테고리의 다른 글

데무스 추모 특집 / 그의 드뷔시를 들으며  (0) 2019.05.03
음반일기 / 2019년 3월  (0) 2019.03.01
음반일기 / 2019년 1월  (0) 2019.01.01
음반일기 / 2018년 12월  (0) 2018.12.30
음반일기 / 2018년 11월  (0) 2018.12.30
Posted by 여엉감
,


 2019.1.1 (화)


 카를 리히터 오르간곡집 (DG) CD 3


 2~3년 전부터 내게는 새로운 습관이 하나 만들어졌다. 새해 첫 날 하루를 바흐의 전주곡과 푸가 F장조 BWV 540으로 시작하는 것이다. 한 해의 시작은 비처럼, 바람처럼, 별처럼, 햇살처럼 충만한 곡과 함께 하는 기쁨이 있어야 한다. 올 한 해도 충만한 하루, 충만한 하루가 되기를 바라며 이 곡을 듣는 기억을 다른 사람들과 공유하고 싶다. 이 블로그를 찾아오시는 분들 모두 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



 2019.1.4 (금)


 훔부르크 로시니 <세빌리아의 이발사> CD 1 (Naxos)


 오디오를 버전업하고 이 음반을 처음으로 틀었다. 역시 오디오를 버전업하면 들었던 음반이라도 다시 한 번 돌려봐야 한다. 허접한 오케스트라는 여전하지만, 성악가들이 빚어내는 앙상블이 만만치 않은 연주.



 2019.1.14 (월)


 뵘 베토벤 교향곡 5번/6번 <전원> (1975년 8월 15일 잘츠부르크 실황)


 고집이 세고 깐깐한 노인의 연주. 15분이나 되는 <전원> 2악장은 느려도 너무 느려 참기 힘들다. 과연 내가 나이를 먹는다고 이런 연주를 찾게 될지는 의문.



 2019.1.17 (목)


 요제프 크립스 슈베르트 교향곡 9번 <그레이트>/LSO (Decca)


 스테레오 초기의 야심찬 녹음. 쭉 뻗는 템포, 쨍쨍한 현악기, 칼칼한 금관악기 모두 마음에 드는데 목관악기가 아쉽다. 특히 바람 빠지는 소리만 나는 플루트는 정말…….


 메타/빈 필 말러 교향곡 2번 <부활> (Decca)


 메타는 내가 아는 메이저 지휘자 중 음을 가장 거칠게 다루는 편에 속한다. 최고의 음향을 지향하는 빈 필과 함께 할 때도 그런 그의 천성은 예외가 아니다. 다행인 것은 만년 연주들처럼 음이 날리는 느낌은 들지 않는다는 것. 빈 필과 데카를 총동원한 물량 공세만큼은 기가 막힌다.


 헝가리의 리히테르 CD 1 (BMC)


 페렌치크와 협연한 경이로운 슈만 피아노 협주곡. 이 곡을 생각할 때는 항상 리히테르의 템포로 머릿속에서 자동재생되는 것이 이제는 버릇이 되었다. 브람스의 Op.118 두 곡은 No.1보다는 No.6쪽이 더 취향이다. 리히테르는 6번 특유의 염세적 낙원을 정말 잘 살린다. <평균율> 발췌 연주 중에서는 2번과 20번이 가장 인상에 남는다. 리히테르의 <평균율>은 장조 곡보다는 단조 곡을 더 잘한다. <프랑스 모음곡>은 인상이 흐릿한 연주.



 2019.1.24 (목)


 코간 브람스/차이콥스키 바이올린 협주곡 (Melodiya)


 전설적인 몽퇴/보스턴 심포니와의 브람스 협주곡 실황. 악장마다 박수가 터지는 연주회는 이것이 처음이다. 코간의 바이올린은 돌로 찍는 것 같은 압박감이 장난이 아니다. 왜 이 연주자의 미국 데뷔가 충격으로 받아들여졌는지 충분히 느낄 수 있다. D에서 2옥타브 위의 E#(F) 중음을 단번에 찍어버리는 첫 프레이즈부터 코간은 안전장치 없는 야수를 보는 느낌이다. 요하임이 '나처럼 손가락이 큰 사람 아니면 제대로 연주 못한다'라고 경고한 곡, 평범한 연주가들에게는 손가락이 찢어질 것 같은 이 난곡 중의 난곡을 그는 아무 거리낌없이 마구 해치운다. 하지만 반주는 좀 김이 빠진다. 요즘 들어 몽퇴는 듣는 것마다 실망하고 기대치가 낮아지는 지휘자 중 한 명이다. 담백한 연주에 치중해 오케스트라의 소리에 무신경한 그에게 가장 잘 어울리는 오케스트라는 빈 아니면 베를린인데, 문제는 그가 잡은 대부분의 오케스트라들이 음향에 심혈을 기울여야 하는 영미권 오케스트라는 것. 어떤 오디오로 돌려듣던 끽끽거리는 현악과 빽빽거리는 금관은 짜증이 난다. 특히 현악기가 강주로 유니즌을 연주하는 대목에서는 귀를 틀어막고 싶어진다.

 실베스트리/콩세르바투아와의 차이콥스키 협주곡 녹음은 의외로 실베스트리의 반주력이 마음에 들었다. 왜 EMI가 이 지휘자를 반주 지휘자로 삼았는지 이해가 간다.



 2019.1.25 (금)


 베르글룬드/본머스 심포니 쇼스타코비치 교향곡 7번 <레닌그라드> (EMI)


 속도전의 진수를 들려주는 예르비(Chandos)와 함께 가장 좋아하는 <레닌그라드> 연주. 이런 비유가 적절할지 모르지만 정말 '외인부대 특유의 처절함'을 제대로 자아내는 연주다. 적지에 고립되어 양질의 화력지원을 기대할 수 없고, 물량전도 힘들며, 소모전은 더더욱 힘든 외인부대가 연이어 기적을 연출한다. 73분의 분투 끝에 터지는 마지막 한 방의 카타르시스가 엄청나다. 다만 역량이 부족해 지루하게 들리는 3악장이 조금 아쉽다.

 * 난 이 곡과 '배부른 소리'가 어울리지 않는다고 생각한다. 처절함 없는 <레닌그라드>는 내게 큰 의미를 주지 않는다.


 디터 체흘린 베토벤 피아노 소나타 8/14/23 (Berlin Classics)


 좋은 의미로도 나쁜 의미로도 뵈젠도르퍼스러운 연주. 중음역대의 특이한 소리를 잘 살린다는 장점을 갖추었지만, '터치와 페달링이 특출나지 않으면 음향이 지저분해지는' 뵈젠도르퍼의 단점도 갖추었다. 해석은 상당히 고집스러워서 약간 답답하다. 가끔 듣기에는 나쁘지 않지만 자주 들으라고 하면 못 들을 연주.



 2019.1.28 (월)


 슈리히트/콩세르바투아 베토벤 교향곡 9번 <합창> (Testament)


 슈리히트/콩세르바투아 베토벤 교향곡 9번의 스테레오판(EMI 전집에 들어 있는 연주는 모노 버전). 베토벤 9번을 통틀어 가장 매혹적인 사파. 초장부터 강렬하게 알싸한 현악기 소리로 조진다. 프랑스 오케스트라의 상대적으로 가볍게 들리는 현악기, 비브라토 특이한(이 당시 프랑스 호른은 피스톤 호른이었다) 관악기 소리와 독일 지휘자의 기묘한 조합이 이런 미친 시너지를 내는 원동력이 되었을 것이다. 뭐 지금이야 이런 소리는 듣고 싶어도 들을 수 없는 소리가 되었지만(앙드레 말로, 바렌보임 개ㅅ… 아닙니다).



(참고 사진으로 피스톤 호른을 올려본다. 셀마Selmer 사 제작품. 저 피스톤이 보이는가?)



 아드 리비툼 sq. 라벨, 포레 현악 4중주 (Naxos)


 '비단 위에 채색한 그림'. 곡도 연주도 이 비유에 잘 들어맞는 연주들. 운필은 자유롭고 농담은 선명하며 악상은 자유로이 뛰어다닌다. 색채는 부드럽게 스며들고 피치카토는 살포시 현을 튕긴다. 흔히 드뷔시와 커플링하는 라벨 현악 4중주를 그의 스승이자 음악적 연관성이 깊은 포레와 커플링한 것도 이채롭다.

'음반'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음반일기 / 2019년 3월  (0) 2019.03.01
음반일기 / 2019년 2월  (0) 2019.02.03
음반일기 / 2018년 12월  (0) 2018.12.30
음반일기 / 2018년 11월  (0) 2018.12.30
음반일기 / 2018년 10월  (2) 2018.10.21
Posted by 여엉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