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아노 소나타 17번 <템페스트> (Piano Soanta No.17 in D minor, Op.31-2 "Tempest")

작곡 시기 : 1802년

 

(“나는 한낮의 태양을 어둡게 하고, 폭동 같은 바람을 불러와,

푸른 바다와 짙푸른 창공의 궁륭이 포효하며 전쟁을 시작하게 했다.

무시무시하게 시끄러운 천둥에게 불을 주어,

제우스의 단단한 참나무를

그 자신의 번개로 쪼개놓기도 했지; 바다로 튀어나온 절벽을 흔들었고,

쇠창살로 소나무와 삼나무를 뽑아내기도 했지; 나의 지시에 따라

잠든 이가 깨어나고, 무덤이 입을 벌리고, 그들을 내보냈다.

나의 강력한 마법으로 그렇게 했다.“

- 셰익스피어 《템페스트》에서 프로스페로의 선언. 프로스페로는 이 말을 한 직후 자신의 마법을 포기한다.)

 

(Op.31을 쓸 무렵, 베토벤은 친구 크롬프홀츠(Krumpholz. 1750~1817)에게 “지금까지 만든 나의 작품에 만족하지 않는다. 이제부터는 새로운 길을 갈 작정이다.”고 말했다. 이때를 전후해 교향곡 2번(Op.36), 3곡의 바이올린 소나타(Op.30)가 만들어지며, 그야말로 ‘위대한 전환점’을 이루는 첫걸음을 내딛는다.

곡의 부제와 관련한 이야기는 유명하다. 신들러가 이 곡에 대해 물었을 때, 베토벤은 “이 곡을 이해하고 싶다면 셰익스피어의 <템페스트>를 읽어라.”고 말했다는 기록이 있다. 셰익스피어 만년의 5막 희곡인 <템페스트>는 동생 안토니오에 의해 쫓겨난 밀라노 공 프로스페로가 딸 미란다와 바다에 떠 유랑하다 외딴 섬에 안착한 후 마술을 연구, 마술사가 되어 12년 후에 마법으로 아우의 배를 난파시켜 회개하도록 만든다는 내용을 가지고 있다. 베토벤은 자신의 작품을 이해하려면 마술적이고 명확히 정의하기 어려운 셰익스피어의 마지막 희곡을 읽은 후에야 가능할 것이란 자신감을 가지고 이런 얘기를 꺼냈던 것이다. 이 곡의 부제는 그렇게 해서 붙여졌는데, 곡의 특성과 교묘하게 일치한다(셰익스피어의 <템페스트>가 해피엔딩으로 끝을 맺는다는 사실을 고려함에도 불구하고). 파울 베커도 이 곡을 “음울하고 무서운” 작품이라고 말한 바 있다. 특히 1악장의 대담함은 예가 없던 것으로, 급변하는 템포와 환상곡을 연상케 하는 패시지가 소나타 형식의 견고함을 휘청거리게 한다. 모든 악장이 소나타 형식으로 이루어져 있다는 특징을 가진 곡이기도 하다.)

 

1악장 (1.Largo 2/2 - Allegro 2/2) (D minor)

(소나타 형식. 환상과 형식미가 아름답게 조화를 이룬 음악이다. 첫 6마디 안에서 템포가 세 번 변하는, 풍부한 변화를 지닌 1주제로 곡을 시작한다. 라르고에서 알레그로로, 다시 아다지오로. 그 짧은 순간에 폭풍이 한 차례 몰아친다. 첫 주제형은 D단조 딸림 3화음의 1전위형을 아르페지오로 느릿하게 연주하는 것이 특징으로 폭풍전야의 긴장감을 몰고 온다. 그리고 갑작스러운 알레그로. 이것은 6마디의 아다지오로 갑자기 제동이 걸린다. 이 주제를 되풀이하면서 경과부를 시작한다. 7마디에서 다시 라르고. 8마디에서 다시 몰아치는 알레그로의 폭풍은 계속 이어지면서 급격한 제동이 한 동안 없을 것임을 선언한다. 이 부분이 발전하면서 셋잇단음이 힘차게 나타나는 새로운 선율과 섞여 이제 완전히 1주제부를 이룬다.

리만은 이것을 1주제로 보고, 곡 처음의 6마디는 서주로 간주한다. 그러나 이 악상은 재현부에서 재현하지 않으므로 처음 6마디를 1주제로 보는 것이 타당하다. 사실 가장 오래된 양식의 소나타에서는 1주제를 명확히 재현하지 않는 경우도 있으며, 베토벤은 작곡 중에 새로운 주제를 재현하려 생각한 흔적이 있으므로 리만의 판단도 완전히 틀리다고 보기는 힘들다. 41마디부터 알레그로 주제에서 파생한 A단조의 2주제가 등장하는데, 지금까지의 움직임을 연장하고 있으며 더군다나 1주제 알레그로 부분에서 소재를 가져왔기 때문에 주제다운 성격은 부족하다. 2주제는 61마디부터 decresc.로 약화되어 63마디에서 코데타로 진입한다. 코데타는 새로운 소재를 도입한 후 조용히 끝난다. 제시부를 반복한 후 발전부는 먼저 라르고로 시작하며, 이어서 알레그로로 바뀌어 새로운 주제를 다이내믹하게 전개한다. 간주와 같은 성격을 지닌 격렬한 부분을 거쳐 음의 세기가 급하게 약해지고, 라르고로 바뀌어 재현부로 들어간다.

라르고는 레치타티보풍의 확장을 거치며, 알레그로, 아다지오를 마치고 나서 다시 한 번 환상적인 분위기를 자아낸다. 앞에서 언급한 대로 새로운 주제의 재현은 이루어지지 않는다. 대신 격렬한 폭풍우 같은 부분을 거쳐 새로운 주제를 D단조로 재현하고, 그 후 차츰 힘이 약해지면서 조용히 끝난다.)

 

2악장 (2.Adagio 3/4) (B flat major)

(총 103마디. 발전부를 생략한 소나타 형식. 1악장과 비슷한 아르페지오로 시작되지만, 앞의 정서와는 상반되는 분위기를 연출한다. 언제 엄습할지 모르는 폭풍에 대한 불안을 내포하는 휴식....... 그래서 더 달콤해 보이는지도 모르겠다. 경과부로 들어가면 저음에서 마치 큰북을 연속해서 두드리는 것 같은 엄숙한 울림이 들려오는데, 이것은 얼마 후 높은 음역에서 모습을 드러낸다. F장조의 2주제로 들어가면 곡은 한층 더 밝고 간절해진다. 후반부에서 북소리와도 같은 pp의 셋잇단음표를 등장시키면서 코데타로 들어간다. 코데타는 불과 4마디로 짧게 꾸미고 있다. 발전부는 생략한 대신 재현부는 장엄한 장식을 더하며 반주에는 호화로운 아르페지오를 5옥타브에 걸쳐 동반한다. 경과부만이 제시부에서 등장했던 형태 그대로 60마디에서 72마디까지 다루어진다. 2주제는 72마디 후반에 등장하는데 B♭장조로 등장한다. 코다는 재현부 코데타와 형식적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1주제를 5마디에 걸쳐 잠깐 회상시키며 간결하게 종결한다.)

 

3악장 (3.Allegretto 3/8) (D minor)

(총 399마디. 16분음표의 약동하는 무궁동으로 이루어진 악장. 연습하지 않으면 리듬이 엉키기 십상이기 때문에, 피아니스트들은 조심스레 이 악장을 연마해야 한다. 주제가 오른손의 움직임으로 시작하고 왼손이 뒤따르는 형태를 취하며, 오른손 부분 동기 마지막 음(D로 시작해 계속 변함)이 환영적인 선율선을 형성한다. 반대로 8마디를 기본으로 취한 형식은 엄격한 모자이크 구조로 주제 동기는 거의 단순한 자리바꿈을 반복할 뿐이다. 경과구는 35마디부터 42마디까지 이어지고 A단조의 2주제부로 넘어간다. 2주제의 박자는 변칙적인 트릴 주제로, 긴장을 더욱 축적한다. 50마디까지는 A단조로 기본박인 3/8에서 변박 형태를 취하지만 51마디부터는 주제 동기에 변주가 이루어지며 주제 후반부를 확대해 반복 등장한다. 91마디부터 4마디의 코데타를 구성한 뒤 발전부로 넘어간다. 발전부는 1주제의 동기만으로 전개하며 그 밖의 재료는 가미하지 않는다. 시종 동일한 음형의 나열로 그 속에 교묘한 명암을 넣어가며 제시부보다 훨씬 긴, 100마디가 넘는 장대한 음악을 꾸며나간다. 그러나 지루한 느낌없이 멋진 아라베스크풍으로 짜여 베토벤의 탄탄한 동기 발전 수법을 만끽할 수 있다. 발전부 말미인 198마디부터는 오른손만으로 급히 뛰어다니는 악구가 17마디 정도 이어진 후 평정을 되찾으며 재현부를 유도한다. 재현부는 관례에 의거 16마디를 재현하고 229마디부터 주요부를 약간 축소해 등장한 후 246마디부터 경과구를 확대하여 두 번 반복한다. 그 뒤 2주제의 재현이 이루어지는데 조성은 D단조로 바뀐다. 코데타를 재현하며 광대한 코다로 진입한다. 코다는 1주제에 의거, 진행하던 도중 349마디의 pp가 돌연 ff로 바뀌며 1주제를 내성에서 드러내고 명확히 한다. 이 주제는 381마디까지 반복한 후 반음계적인 하행 악구를 삽입한 후 1주제를 반복하고 조용하고 음산하게 코다를 끝맺는다.)

Posted by 여엉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