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반주 바이올린 소나타 (Sonata for Solo Violin, Sz.117)

작곡 시기 : 1944년 완성

바르토크는 바이올리니스트 예후디 메뉴인의 위촉에 답할 작품으로 바이올린 독주곡을 썼다. 피아노가 딸린 바이올린 소나타가 아니라, 바흐의 음악을 생각나게 하는 독주 바이올린 소나타였다.

사실 바이올린 독주곡은 만들기 여간 까다로운 곡이 아니다. 바이올린은 저음역이 없고, 그 때문에 폭넓은 음역을 활용할 수 없다. 잘못 만들어진 바이올린 곡은 깽깽이마냥 끽끽거리는 소리밖에 내지 못한다(일부러 그런 음향을 활용한 작곡가도 적지 않지만 그 음향을 남용하는 작곡가는 아직까지 보지 못했다). 4개 현의 특성을 잘 살리는 음악 만들기도 어렵다. 피치카토를 빼면 동시에 두 개의 이상의 음을 연주할 수 없기 때문에 3중/4중 스톱에서 음들을 분리시켜야 하므로 다성음악도 화성음악도 표현하기가 쉽지 않다. 이 난제들을 뚫고 바이올린 독주곡을 만든 작곡가는 그리 많지 않으며, 바흐의 여섯 곡을 비롯해 바르토크와 힌데미트, 루토스와프스키 정도가 유명할 뿐이다(파가니니의 카프리스는 음악을 떠나 순수하게 기교적인 곡이므로 넘어가도록 하자).

바르토크는 그 난점들을 넘어 새로운 것도 시도했다. 그는 미분음을 딱 세 곡의 음악에서 실험했는데, 작곡 순서대로 나열하자면 바이올린 협주곡 2번(Sz.112), 현악 4중주 6번(Sz.114), 그리고 이 무반주 바이올린 소나타다. 물론 바흐에 대한 경의로 이 작품을 만들었을 것이며 소재에서도 바흐의 냄새가 나지만, 곡은 온전히 바르토크의 작품이다. 곡을 완성했을 때, 바르토크에게는 18개월의 생이 남아 있었다. 그는 1944년 11월 26일에 뉴욕에서 메뉴인이 이 곡을 초연하는 것을 들을 수 있었지만, 이 곡은 그의 처음이자 마지막 현악 독주곡이 되었다.

 

1악장 <샤콘느 템포> (1.Tempo di ciaccona)

헐시 스티븐스는 이 곡이 샤콘느 악장이 아니라 샤콘느 성격의 소나타 악장으로 보고 있다. 이것은 브람스 피아노 협주곡 Op.83의 첫 악장을 보고 사람들이 범하는 실수와 비슷한데, 브람스의 곡은 리트로넬로 형식을 취한 소나타 형식이지 리트로넬로 형식이 아니다. 전체 150마디 중 52마디가 제시부, 38마디가 발전부, 47마디가 재현부, 나머지 14마디가 코다이다. 중심음은 G이며, 처음에 곡은 단조로 시작했다가 마지막에 장조로 바뀌는데, 작곡가는 이 악장에서 반음계법을 자유롭게 구사한다. 음정적으로는 2도, 4도, 7도에 크게 의존하는데, 이것은 마자르 민속음악의 성질과 연관이 있다.

 

2악장 <푸가> (2.Fuga)

푸가 주제는 좁은 반음계(B에서 F# 사이)의 음정들을 사용하며, 매우 자유롭다. 제시부는 4성이며 C-G-C-G 순으로 도입이 이루어지지만, 푸가는 3성이며 변주적 원리는 물론 각종 대위법을 구사한다. 첫 번째 응답을 제외하면 주제의 형태가 변형을 시작하므로 점점 엄격한 대위적인 원칙에서 벗어나는데, 그 때문에 이 곡은 푸가적 환상곡으로 보아도 무방하다.

 

3악장 <멜로디아> (3.Melodia)

멜로디아는 반음계적인 진행이 주조음을 이룬다. 형식은 단순한 A-B-A 형을 취하지만, 세 번째 부분을 교묘하게 변형시켜 원래 형태를 알아볼 수 없을 정도로 변한다. 악보를 보지 않고서는 첫 부분과 마지막 부분 사이의 연관성을 알기 힘들다. A부분의 주제는 2도와 4도를 많이 사용하며 이 주제를 반음계적으로 굴절시켜 사용한다. 중간 부분에서 현악기는 시종 약음기를 달고 연주한다. 사실 바르토크는 이 악장에 관해 메뉴인에게 보내는 편지에서 악장 전체를 약음기를 달고 연주할 것을 권하기도 했다. 물론 약음기를 달지 않고 연주하는 것에 대해서도 질문했지만.

 

4악장 프레스토 (4.Presto)

첫 부분은 현악 4중주 4번의 2악장과 연관이 있다. 두 번째 부분은 프리지아 선법의 민요적 선율로 헤미올라의 느낌을 갖는데, 교대로 나오는 3/4-3/8박자 패턴을 작곡가는 3/8 박자 기보로 써 두었다. 나머지 부분은 주로 멜로디인데, 이 세 부분은 코다에서 결합한다.

 

Posted by 여엉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