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아노 소나타 8번 <비창> (Piano Sonata No.8 in C minor, Op.13 "Pathetique")

작곡 시기 : 1797년에서 1798년

출판 : 1799년. 빈의 에데(Eder) 출판사.

헌정자 : 카를 리히노프스키 후작

(베토벤 초기 소나타의 정점을 이루는 걸작으로, 극적이고 아름다운 악상 때문에 더욱 널리 알려졌다. 연주 기술 또한 비교적 어렵지 않아서 많은 이들이 즐겨 연주한다.

작곡 연대는 단정할 수 없지만 1798년 이후 완성한 것으로 보인다. 노테봄에 따르면 론도 악장은 원래는 피아노를 위해 구상한 것이 아니라 피아노와 바이올린을 위해 구상한 곡이었다고 한다. 스케치는 Op.9-1, Op.9-3(둘 다 현악3중주곡)의 스케치에 섞여 있다.

이 소나타를 출판했을 때 초판 표지에는 「Grande sonate pathétique(비창적 대 소나타)」라고 적혀 있었다. 베토벤의 피아노 소나타 가운데 작곡가가 직접 표제를 붙인 것은 이 작품이 처음이며, 이후의 작품 중에는 Op.81a의 《고별 소나타》가 있을 뿐이다. ‘pathétique', 즉 ’비창‘이라는 말이 당시 베토벤에게 어떤 의미가 있었는지를 살펴본다면, 베커의 주장처럼 지금까지 소나타에 부분적으로만 나타나던 베토벤 특유의 감정이 여기서는 분명하게 결정체를 이루었다고 말할 수 있을 것이다. 하지만 거창한 표제에 비해 아직 내용상으로는 후기에 나타나는, 정신을 뿌리째 뒤흔드는 비극적인 요소와는 거리가 멀다. 스코트는 이 곡을 「로미오와 줄리엣」에 비교한다. 그는 이 두 작품의 공통점을 ’청춘의 애상감‘이라는 말로 표현한 바 있다. 어쨌든 애써 표제를 붙여서 듣는 이들에게 자신의 주장과 곡의 내용을 전달하려는 매우 적극적인 자세를 보여주는 것은, 당시의 베토벤이 이미 하나의 음악에 뭔가 확실한 의미를 담으려는 방향으로 나가고 있음을 알게 한다. 그리고 표제에서 드러나는 베토벤의 자신감은, 젊은 베토벤의 패기만만한 모습을 보여준다. 이 소나타가 세상에 나온 1799년은 1800년을 예비하는 해이며, 1800년 이후 베토벤의 격동하는 삶을 생각하면 이 소나타는 그 삶에 대한 전주곡처럼 보인다.

자필악보는 현재 사라진 상태. 초판은 1799년 가을, 에데 사에서 출판했다.

헌정자인 카를 리히노프스키(Karl Lichnowsky. 1756~1814) 후작은 대단한 음악애호가로 모차르트와도 진했으며, 젊은 베토벤의 재능을 일찍부터 발견하여 그를 자신의 저택에 머무르게 하였다. 이 곡 외에 3개의 피아노 3중주곡 Op.1, 「교향곡 제2번」, 피아노 소나타 Op.26도 후작에게 헌정했다.

시종일관 명쾌한 선율과 복잡하지 않은 화음으로 일관하지만 내용이 워낙 충격적이라(시작부터 fp로 내려치는데다 감7화음의 효과적 사용이 많은 인기를 끌은 모양이다) 당시 빈의 음악학도 사이에 선풍적인 인기를 끌었고, 악보 품귀 현상까지 빚었다고 한다.)

 

1악장 (1.Grave 4/4 - Allegro di molto e con brio 2/2) (C minor)

(10마디의 서주를 가진 소나타 형식. fp로 울리는 비극적인 느낌의 그라베Grave 서주에는 기본 동기(C-D-E♭)가 들어 있다(이 동기는 나중에 차이코프스키가 자신의 교향곡 6번에 사용한다). 첫마디부터 (앞으로 지속적으로 쓰일) 감7화음(F#)을 내놓으면서, 감7화음의 교과서적인 용례를 보여준다. 이전 베토벤의 피아노 소나타에는 이런 예가 없었지만, 모차르트의 피아노 소나타 KV.457에 이런 선례가 있다(바흐 파르티타 2번 BWV 826과의 연관성도 제기되고 있다. 공교롭게도 세 곡 모두 C단조다). 서주는 마지막 부분에서 급격한 반음계적 하강을 보이며 알레그로 디 몰토 에 콘 브리오Allegro di molto e con brio의 주요부로 향한다. C단조의 1주제는 트레몰로에 실려 스타카토로 상승하는 격렬한 주제이며, 이어 주로 1주제에 토대를 둔 기복 심한 경과부가 이어진다. 2주제는 병행장조인 E♭장조가 아니라 E♭단조로 시작한 뒤 40마디 가까이 지나서야 E♭장조가 나온다. 이 두 개의 주제 중 어느 것이 진정한 2주제가에 대해서는 논의가 분분하지만, 동일 음계 위의 장ㆍ단조에 의한 두 개의 주제를 두는 것은 이미 Op.2의 소나타 1악장에서도 나타나며, 그 경우 모두 주제적인 성격을 충분히 지니고 있다.

이 두 개의 주제는 앞의 것이 화려하고 다듬어지고 유동적인 데 비해 뒤의 것은 막연한 리듬감을 차츰 고조시켜 가는 스타일로, 대단히 효과적인 대조를 이루고 있다. 계속해서 명쾌하게 흐르는 느낌을 선율을 연주하며, 그 후 1주제에 의한 코데타로 이어져 제시부가 끝난다.

발전부에서는 먼저 그라베가 G단조로 나타나고 다시 알레그로로 넘어가 1주제를 전개한다. 조성은 E단조로 시작해 B단조를 거쳐 D단조로 나아간 후 반음계가 붙는다. 발전부에도 그라베 음계가 나타나는 것이 특이하다. C단조는 재현부 직전에 돌아온다.

재현부에서는 1주제를 재현한 후 조금 길어진 전개 부분이 오며, 2주제 첫 부분은 F단조로, 둘째 부분은 C단조로 재현한다. 코다에서는 짧은 그라베의 재현 후 1주제로 간결하게 마무리한다.)

 

2악장 (2.Adagio cantabile 2/4) (A flat major)

(A-B-A의 3부 형식. 73마디의 짧은 악장이지만 베토벤의 느린 악장 중 가장 우아한 악장으로 손꼽힌다. 나겔(W. Nagel. 1863~1929)이 베토벤의 작품 중 가장 뛰어난 것이라 평한 악장이다. 주제는 3성으로 중성(비올라)을 반주로 삼고 상성(바이올린)과 베이스(첼로)가 선율적인 흐름을 취한다. 짧게 말해 현악 3중주의 구도와 비슷하다. 베토벤 초기의 느린 악장 중 가장 아름답고 달콤한 선율을 들려준다(전문 용어로 ‘가요성’이라 한다. 선율선은 C-B♭-E♭-D/C-E♭-A♭-B♭-E♭). 베토벤이 이토록 아름다운 선율을 작곡한데는 신형 피아노인 발터제 피아노의 성능을 자랑하기 위한 의도도 있었다고 한다. 주제는 약간 형태를 바꾸어 반복하는데, 반복할 때는 4성으로 나타난다. F단조의 짧은 부주제는 주요 주제보다 좀 더 폭넓은 음역에 걸쳐 있으며 바이올린의 선율을 연상시키는 단성으로 이루어진다. 다시 주제의 재현을 거쳐 A♭단조의 2주제가 나온다. 조성 자체는 우울하지만 셋잇단음표가 우울한 기분에 약간의 생동감과 활력을 부여한다. 2주제의 셋잇단음은 주제로 복귀한 이후에도 계속 반주부의 리듬으로 자연스럽게 이어진다. 코다는 딸림음인 E♭으로 시작해 점차 긴장을 풀고 조용히 끝을 맺는다.)

 

3악장 (3.Rondo. Allegro 2/2) (C minor)

(A-B-A-C-A-B-A-코다의 전형적인 론도 형식. 1악장의 비장함은 덜고, 열정을 더한 악장이다. 속도감 있는 C단조의 1주제로 시작하는데, 이 주제는 1악장 그라베 및 E♭단조 주제와 동기 상의 공통점을 가지고 있다. 매끈하고 아름다운 선율이지만 어딘지 모르게 안정감을 주지 못한다. 이 주제의 느낌은 3악장 전체를 지배하는 독특한 불안감으로 이어진다.

주제를 확실히 매듭을 지은 후 짧은 경과부로 들어가며, 이어 정서를 순화시키는 E♭장조의 2주제가 나온다. 론도 주제가 복귀한 후 81마디부터는 A♭장조의 감성적인 3주제가 나오지만(대위법을 능숙하게 사용하며 8분음표 차이로 오른손과 왼손이 엇갈린다), 이 주제의 후반부는 론도 악장에서 가장 격렬한 부분이다. 다시 1주제로 돌아간 후 2주제가 복귀하면 주제에 큰 변화가 일어난다. 2주제의 복귀는 6도 위에서 이루어지는데, 셋잇단음표 출현부분을 반복한 다음 제3요소인 E♭장조 부분도 C장조의 딸림음으로 시작(156마디), 후반부는 E단조를 거쳐 B단조로 이어지고 1주제가 C단조로 돌아온 후 이어지는 코다는 하강 악구에서 페르마타 한 후, 202마디에서 짧게 A♭장조로 론도의 주제를 회고한 후 C장조로 돌아가 돌연(pp→ff) F# 감7화음(F#/A/C/E♭)을 등장시킨 후 이것을 C단조 I로 해결하고 그대로 마친다. 감7화음은 이 곡의 처음과 끝을 하나로 묶으면서, 이 곡을 열고 닫는 키워드다.)

Posted by 여엉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