앞의 <센트럴 파크>와 짝을 이루는 이 음악을 알지 않고서는 <센트럴 파크>를 온전하게 알 수 없다. 두 음악은 톰 소여와 허클베리 핀이다.

 

1906년 7월경, 아이브스는 《대답없는 질문 The Unanswered Question》을 스케치한다. 이 작품은 아이브스의 또 다른 실험적인 작품으로 3개의 선율층들로 만들어졌다. 각각의 층들은 나름대로의 조직과 악기 편성을 갖고 서로 병행하는 스타일로 진행한다. 배경이 되는 현들은 들어서는 거의 알 수 없게 천천히 순환하며, 서로 신비스러운 소리의 동형진행을 만들어간다. 이것은 전통적인 화성으로 진행하지만 거의 조성음악처럼 들리지 않는다. 하지만 이 작품에서의 진행 방법은 아이브스가 이후에도 계속 사용하고자 했던 방법은 아니었다. 선율층들은 너무 불명확하고, 정적이며, 서로의 진행 과정에만 집착하고 있다. 그래서 아이브스는 이를 보완하여 곧 더욱 통합적인 선율층 음악을 작곡하게 되는데, 이것이 《어둠 속의 센트럴 파크 Central Park in the Dark》이다. 이렇게 《대답 없는 질문》과 《어둠 속의 센트럴 파크》가 모여 《두 개의 명상들 Two Contemplations》이라는 작품을 이룬다. 이 작품 이후에도 아이브스는 이러한 선율층들에 대하여, 더 나아가 여러 그룹의 음향층들에 대하여 골똘히 생각했다. 마치 태양 주위를 돌고 있는 혹성들처럼, 각각의 그룹은 자신이 속한 공간의 음악 안에서, 자유롭게 일종의 초대위법(super contrapunctal)인 진행을 한다. 이러한 방법은 아이브스가 처음부터 의도한 것 같지는 않지만, 어쨌는 그는 이 방법을 통하여 전례에 없던 여러 대위법적 층들을 통제할 수 있게 되었다.

- 20세기 작곡가 연구. 이경미

 

《대답없는 질문》은 현악기와 목관악기, 독주 트럼펫을 위한 곡이다. 현악기는 G장조의 변동 없는 화음을 계속 연주한다. 약간의 변주로 제한된 변화만을 허용할 뿐이다. 현악기는 곧 이 곡의 배경이다. 그 틈을 비집고 트럼펫이 6개 음으로 구성된 프레이즈를 던진다. 작곡가의 설명에 의하면 ‘실존이라는 영원한 질문’이다. 반대로 현악기에 대해서는 ‘그 어떤 것도 보거나 듣거나 알지 못하는 드루이드 사제들의 침묵’이라고 썼다.

트럼펫은 틈을 벌리고 소동을 키운다. 혼란을 끌고 온다. ‘싸우는 답변자들’ 이라는 설명이 붙은 플루트는 마지막 부분을 제외하고는 반음계적/다조적 헤테로포니를 연주한다. 마치 이것이 답변이라는 것 마냥. 현악기는 거의 변하지 않는다. 트럼펫은 전혀 변하지 않는다. 오직 목관악기들만이 자기 답변을 변형시킨다. 그러다가 마지막 질문이 끝나고, 현악기만이 처음과 같은 고요한 화음을 계속 연주한다. 서로가 서로를 이해하지 못하고, 질문과 대답은 평행을 달린다.

Posted by 여엉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