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데이비드 브라운의 글을 참고함.

 

쇼스타코비치의 교향곡은 폐쇄공포증에 걸린 사람의 정신상태와 비슷한 상황을 유도한다. 실제로 소비에트의 정치적 현실도 인민들에게 폐쇄공포를 불러일으킬 만한 상황을 제공하고 그런 현실을 구축했으니 쇼스타코비치의 교향곡이 나오는 것은 어쩌면 필연이라는 생각마저 든다. 제한된 진보성, 제한된 불협화음, 숨어있는 장치들이 얽혀 있는 쇼스타코비치의 교향곡은 마치 암호문과도 같다. 한 사람의 비밀을 감추는 장소로는 그 틀이 너무나 컸기 때문에 쇼스타코비치는 거기에 많은 것들을 감추는 동시에 드러낸다. 비명소리, 신음소리, 문 두드리는 소리(국가권력이 개인을 짓누르던 시기에 문 두드리는 소리는 처형장이나 굴라그로 자신을 끌고 갈 전주곡이었다), 학살을 의미하는 총격, 간간이 나타나는 ‘소수자’들의 목소리(13번과 14번 교향곡은 분명 ‘소수’의 목소리를 교향악 장르에 끌어왔다는 점에서 높이 평가할 만하다), 그리고 집요할 정도로 반복되는 군홧발 소리. 이 군홧발 소리는 쇼스타코비치의 개인 서명 모티브인 ‘DSCH' 못지않게 곳곳에서 집요할 정도의 반복으로 청자들을 세뇌시키기 직전까지 가며, 쇼스타코비치의 다른 모티브들도 그 군홧발 소리에서 벗어나지 못하는 것처럼 집요한 반복으로 가득하다. 그 반복이 때로는 중요한 것들을 가려버리기도 한다.

4번 교향곡은 오페라 <맥베스 부인> 사건으로 정치적 생명과 함께 육체적 생명이 끝날 위기에 처해 있던 시절에 완성한 곡이다(작곡은 1934년부터 진행하고 있었다). 쇼스타코비치는 이 곡의 초연을 오래도록 미루었다가 1961년에야 세상이 이 곡을 듣게 했다.

1악장에서 악상은 무엇인가 그럴듯한 형태를 갖추기도 전에, 주제의 전개를 충분히 만족할 만한 수준에 끌어올리기도 전에, 폭발한다. 그 폭발은 곡을 이끌고 나갈 추동력인 동시에, 이 추동력이 사라지면 곡은 모든 융합을 끝낸 항성처럼 차갑게 죽어갈 것이라는 선언인 셈이다. 폭발이 더 큰 폭발을 이끌어내고, 폭발 사이에서 발작적인 현악 패시지가 나타난다. 얄궂게도 이 패시지는 에스프레시보 지시를 달고 있다. 1악장이 절반 정도 진행되었을 때 청중들은 감정을 극한으로 몰고 가는 현악 푸가토와 마주하게 될 것이다. 자신의 생명이 걸린 아슬아슬한 줄타기를 하는 와중에도 쇼스타코비치의 작곡 상황은 큰 변화가 없지만, 그가 받은 거대한 압력은 내면에 응어리로 남아 있다가 본인도 예기치 못한 상황에 밖으로 불거져 나오는 것 같다. 푸가토의 폭발을 끝으로 곡은 불균형적이고 짤막한 코다로 끝을 맺는다. 공허한 바순의 울림 - 차이코프스키 <비창> 이래로 하나의 전통이 되어버린 - 은 무엇을 암시하고자 하는 것일까.

2악장은 1악장과 3악장을 잇는 불안한 간주곡, 즉 부교浮橋다. 세 개의 악장이 모두 불균형적이고 어딘가 맞지 않는 형식을 가지고 있다는 것은 그만큼 작곡가가 지탱할 수 있는 기반이 불안정했다는 증거일지도 모른다. 2악장의 코다는 계속 무엇인가 말을 하려 하지만 목소리가 크게 나오지 않는 것 같다. 들리는 것은 알듯 모를듯 속삭이듯 들려오는 작은 목소리들뿐이다.

음울한 라르고에 이어 알레그로에서 곡은 다시 폭발한다. 가차 없는 동기들의 전진이 이어지면서 계속 곡을 극한으로 몰고 가기 직전, 갑작스럽게 부드러운 춤곡이 그 전진을 잘라버린다. 악장은 이제 다채로운 콜라주로 채워진다. 한 가지 색상이 지배하던 곡에 온갖 음악이 끼어든다. 그러나 그 음악들은 하나같이 불안해 보인다.

그리고 마지막 순간이 다가온다. 팀파니의 강주를 앞세운 금관악기 코랄은 지금까지의 모든 것들을 압살해버린다. 이 금관악기 코랄은 주조성인 C단조에 도달할 때까지 오로지 파괴를 위한 파괴를 반복한다. 이 코랄이 지나가고 나면 어떤 모티브도 온전히 남아 있을 수 없다. 토막 난 사지가 잘려나간 후에도 잠시나마 꿈틀거리는 것처럼, 코랄이 끝난 후의 남은 부분들은 발작적으로 꿈틀대다가 곧 움직임을 멈춘다. 마지막에 향긋한 첼레스타의 음향이 들려오지만, 이 교향곡의 마지막 부분을 생각하면 참으로 역설적인 조합이라는 생각이 든다.

Posted by 여엉감
,